ID  PW    쪽지함쇼핑카트


영화들
영화인들
영화회사들
인기순위
영화인 사진
영화/비디오 검색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Gone with the Wind)
미국, 영국 / 영어 / 드라마, 전쟁, 로맨스 / 222분 1995년 05월 05일 개봉


출연: 비비안 리, 클라크 게이블, 레슬리 하워드
감독: 빅터 플레밍
각본: 시드니 하워드
촬영: 어네스트 할러, 레이 레나한
제작: 셀즈닉인터내셔널픽처스
배급: MGM, 뉴라인시네마

팬 리스트 보기  
네티즌 리뷰 쓰기비디오 구입하기
[만족지수]88.51%

작품성  (8/10)
네티즌  (9/10)
[23명]  





19세기말 남북전쟁으로 짓밟힌 미국 남부 조지아주를 무대로, 격렬하게 살아간 여인 스칼렛 오하라(Scarlet O'Hara)의 이야기를 그린 마가렛 미첼 여사의 동명 소설을 영화한 상영 4시간의 불후의 명작이다. 원작은 10여 년만에 완성했다고 하며, 600만 달러가 투입된 제작비는 당시로서 전대 미문의 엄청난 것이며, 아카데미 작품(데이빗 셀즈닉), 여우주연(비비안 리), 여우조연(헤이티 맥대니얼), 감독(빅터 프레밍), 각색(시드니 하워드), 촬영, 실내장치, 편집, 특별상 등 11개 부문을 휩쓴 대작이다. 1965년에 <사운드 오브 뮤직>이 나오기까지 30년간 세계 영화 흥행수익 1위의 자리를 30년 가까이 지켰다. 그러나 그동안 화폐가치가 6배나 떨어졌다는 사실을 반드시 감안해야만 한다.

무대는 남군 최후의 거점이었던 애틀랜타와 오하라 가문의 타라 농장을 오간다. 미첼 여사는 오직 이 한편만을 쓰고는 자신의 모든 것을 여기에 다 쏟아넣었기 때문에 더 이상 쓸 것이 없다고 하면서 그 후로는 일체 붓을 들지 않았다. 36년에 출간되어 베스트 셀러가 된 이 책의 영화화권을 당시로서는 거금인 5만달러에 사들인(후에 다시 5만달러를 추가로 지불) 제작자 데이빗 O. 셀즈닉은 남자주인공 레트 버틀러 역으로는 원작자의 추천에 의해 클락 게이블을 일찌감치 결정해놓고, 여주인공 스칼렛 오하라 역의 배우를 찾지 못한 채 일단 촬영에 들어갔다가 우연히 촬영장에 들른 영국출신의 무명 여배우 비비안 리를 스칼렛로 결정하여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 결과는 엄청난 성공이었다. 두 주연의 역사적인 명연과 함께 전 배역진의 참신한 조화와 획기적인 칼라촬영, 헐리우드 최고의 각본가 7명과 셀즈닉 자신까지 참여한 완벽한 시나리오, 맥스 스타이너의 기념비적인 음악, 390만달러 라는 당시로서는 천문학적인 거액의 제작비 등이 한데 모여서 애틀랜타 역의 남군 부상병들 장면, 애틀랜타 대화재속의 극적인 탈출장면, 레트와 스칼렛의 폭발적인 러브 씬, 멜라니 역의 하빌랜드가 보여준 은근한 강인함 등 수많은 인상적인 명장면들을 탄생시켰다.

처음에는 죠지 큐커(George Cukor)를 감독으로 촬영을 시작했으나, 의견 차이로 인해서 3주만에 관두고 말았다. 그래서 <오즈의 마법사>를 막 끝낸 빅터 플레밍(Victor Fleming)에게 메가폰이 넘어갔다. 플레밍은 마지막 1주일을 남기고 과로로 쓰러지는 바람에 나머지는 샘 우드(Sam Wood) 감독이 찍었다. 한가지 이상한 점은 "타라의 테마(Tara's Theme)"를 비롯해서 영화사에 불멸의 명곡을 남긴 맥스 스타이너의 음악이 음악상을 놓친 것.

지금은 70밀리 화면에 옮겨져서 스테레오 음향을 곁들여 계속 재공개가 되고 있다. 엄청난 방영권료와 셀즈닉의 고집 때문에 TV에는 등장하지 못하다가, 1976년에야 처음으로 CBS에서 이틀간에 걸쳐 방영이 되었다. 이때 시청률 47.6%라는 기록적인 인기를 얻었고, CBS는 1978년부터 20년간 20회까지 방영할 수 있는 권리에 3,500만 달러를 지불했다.

1985년에 MGM의 필름 보관소를 사들인 테드 터너(CNN 사장)는 2년간에 걸쳐 25만 달러를 들여 필름을 완전히 복원시켜, 1989년에 공개 50주년 기념으로 재공개를 해 다시 화제가 되었었다.

"내일 나는 그이를 되찾을 방법을 생각해 낼 것야, 어쨋든 내일은 또 새로운 하루니깐(After All, Tomorrow Is Another Day)"라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스칼렛 오하라의 말로서 이 명작은 그 끝을 맺는다. 이 영화도 약 50년이 지나 TV 미니시리즈 형식으로 속편이 제작되었다.

한편 이 영화는 자막에 나오는 인물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였다. 각본에는 시드니 하워드 외에, Ben Hecht, John Lee Mahin, David O. Selznick, John L. Balderston, Charles MacArthur, Edwin Justus Mayer, Winston Miller, Donald Ogden Stewart, Jo Swerling, John Van Druten, F. Scott Fitzgerald 등이 비공식적으로 참가하였다. 또, 음악도 막스 스테이너 외에 Adolph Deutsch, Hugo Friedhofer, Heinz Roemheld가 있다.



"그곳은 신사도와 목화밭으로 상징되는 곳이었다. 이 아름다운 지방은 기사도가 살아있는 마지막 땅으로, 용감한 기사와 우아한 숙녀, 그리고 지주와 노예가 함께 존재하는, 책 속에서나 볼 수 있는, 꿈처럼 기억되는 과거가 오늘로 살아있는 곳. 문명은 바람과 함께 사라지는 것일까(A Civilization Gone With Wind...)."

(1부) 남북 전쟁 전의 미국 남부는 새로운 문명과는 단절 된 채 옛 관습과 전통에 뭍혀 살아가는 아름다운 땅이었다. 북부가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남부에도 이를 강요하자 남부는 연방을 탈퇴, 남과 북은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조지아주 타라 농장의 장녀 스칼렛 오하라(Scarlett O'Hara: 비비안 리 분)는 빼어난 미모와 늠름한 성격으로 청년들의 선망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스칼렛이 사랑하는 남자는 애슐리 윌크스(Ashley Wilkes: 레슬리 하워드 분) 뿐. 그 무렵 그녀 앞에는 영국 출신이면서 행실이 나쁘다고 소문난 험상궂고 남성다운 레트 비틀러(Rhett Butler: 클락 게이블 분)가 나타나자 거만한 스칼렛은 그를 미워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자신도 모르게 이끌려간다. 하지만 애슐리가 그녀의 착한 사촌 멜라니(Melanie Hamilton: 올리비아 드 하빌란드 분)와 결혼하자 스칼렛은 홧김에 동생 인디아(India: 알리시아 렛 분)와 결혼하기로 되어있던 멜라니의 남동생 찰스(Charles Hamilton: 랜드 브룩스 분)와 결혼해 버린다. 그러나 찰스는 입대하자 마자 전사하고 만다. 어울리지 않는 상복을 입은 스칼렛은 여전히 애슐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데 전황은 점차 남부에 불리해져 조지아주 애틀란타까지 북군이 쳐들어온다. 겁에 질린 스칼렛은 멜라니의 출산이 임박하자 계속 머물게 된다. 스칼렛은 멜라니가 아이를 낳고 전쟁의 불길이 거세지자 레트의 마차로 죽음의 고개를 넘고 넘어 고향으로 피난한다. 레트는 갑자기 마음을 바꿔 전쟁터로 향한다. 기진맥진한 멜라니와 도착한 고향은 어머니의 죽음과 실성한 아버지, 그리고 혹독한 가난만이 기다린다. 하지만 스칼렛은 이를 헤쳐나갈 것임을 하나님께 맹세한다.

(2부) 북군으로 인해 남부의 점령지는 수난을 겪한다. 전쟁에 나섰던 남부의 청년들이 점차 돌아오기 시작하는데, 찰스의 형 카네기도 돌아와 스칼렛에게 구애를 한다. 하지만 그녀에게는 여전히 애슐리 뿐이다. 스캇렛은 세금 300달러를 내지 못해 고난을 겪고, 이때 정신이 나갔던 아버지가 말을 타다 떨어져 죽는다. 이때 전쟁 때문에 큰 돈을 번 레트가 군형무소에 있다는 사실을 안 스칼렛은 그를 찾아가지만 또다시 그의 빈정거림만 받는다. 이에 스칼렛은 동생의 약혼자인 프랭크 케네디(Frank Kennedy: 캐롤 나이 분)와 결혼하여 세금을 해결한다. 전쟁이 끝나고 그녀는 프랭크의 자금으로 제제소를 운영하는데, 여자가 사업을 하는 것에 대한 주위의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그저 돈을 버는 일로 열의에 차 있다. 프랭크와 애슐리는 정치 모임에 나갔다가 프랭크가 총에 맞아 죽고, 애슐리는 다행히 레트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다. 스칼렛은 결국 돈 많은 레트의 구애를 받아들여 결혼식을 올린다. 레트는 그녀가 자신을 좋아하지 않음을 알지만 결혼 생활에서 점차 자신을 사랑해지기를 기다리며 그녀를 위해 많은 돈을 쓴다. 하지만 애슐리를 연모하던 스칼렛의 마음은 날이 갈수록 더해가자 스칼렛과 레트는 연일 싸움이 그치지 않고, 레트는 오직 딸 보니(Bonnie Blue Butler: 캐미 킹 분)가 커가는 것을 위안으로 삼아 살아간다. 스칼렛은 애슐리와 있는 것을 주위 사람들도 알게 되어 곤경에 처하게 되는데, 자신과 애슐리의 관계를 냉철히 알고 호되게 질책하는 레트에게 점차 이끌리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녀의 진심을 미처 깨닫지 못한 레트는 보니를 데리고 여행을 떠나 스칼렛을 실망시킨다. 스칼렛은 그가 돌아왔을 때, 그토록 싫어하던 그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지만, 레트는 이것 마져 진심으로 봐주지 않는다. 결국 스칼렛은 계단에서 떨어져 유산되자, 레트는 자신의 잘못을 슬퍼한다. 하지만 이후에도 자존심 때문에 두 사람의 다툼이 계속된다. 여기에 그토록 아끼던 보니가 말을 타자 떨어져 죽자, 레트는 더없는 실의에 빠진다. 더구나 두 사람을 항상 위로해 주던 멜라니도 쓰러진 후 결국 숨을 거두자, 스칼렛은 커다란 슬픔을 겪게 된다. 그리고 애슐리가 정말로 사랑했던 사람은 자신이 아닌 멜라니임을 안 스칼렛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레트임을 알고 그에게로 달려오지만, 레트는 미련없이 그녀 곁을 떠난다.

"그를 이대로 보낼 순 없어. 그를 돌아오게 할 방법을 생각해야지, 오 지금은 생각할 수 없어, 그랬다간 미칠 것만 같애. 그래 그건 내일 생각하자. 하지만 생각해 내야하는데, 꼭 생각해 내야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지. 정말 중요한 게 뭘까." / "타라, 오 내 고향, 타라에 가자. 거기에 가면 그이를 되찾을 방법이 생각날 꺼야. 결국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떠오를 테니깐(After All Tomorrow Is Anther Day)." - The End -"

열두 참나무집에서 애슐리와 멜라니.
Gone With The Wind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스칼렛
내일은 또 내일의 해가 떠오를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