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고양이를 부탁해> 나도 한번 따라해보고 싶었다 글: 성재원 2001년 10월 10일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도 그런 좋은 영화였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좋지는 않았습니다. 위에서 말한 저의 고약한 습관에다 마음 깊숙한 곳에 아직도 그 세력을 보존하고 있는 한국 영화에 대한 뿌리깊은 선입관이 합세를 하였고, 더구나 이 영화의 5명의 신인급 여배우들 - 이요원, 배두나, 옥지영, 이은실, 이은주 - 들의 연기력에 대한 의심까지 더해지니 좀 살벌했었죠. 싸움닭같이 볏을 빳빳이 세우고 노려보던 저의 자세는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더군요. 마치 영화 "와이키키 브라더스" 를 결혼 20년차의 언니라 생각한다면, 이 "고양이를 부탁해"는 언니와는 20년정도의 터울이 있는 귀여운 여조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랜 인생 경험에서 오는 그런 슬픔은 아니었지만, 이제 막 성인들의 세계로 발을 내딛는 경험없는 젊은 슬픔이었습니다. 또한 아픈 현실을 품에 안고가는 성숙한 희망이었다면 모호한 현실에 도전하는 희망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아웃사이더들에 대한 따뜻한 애정이 감동적이었습니다. 가장 정이 가는 녀석은 배두나가 분했던 태희였습니다. 가족들과의 대화를 거의 단절한체 자신의 세계에 몰입해 살아가는 태희의 방에는 그녀의 소중한 책들이 자리를 잡고 있더군요. 반가웠습니다. 뇌성마비에 걸린 한 시인을 곁에서 묵묵히 도와주고, 주위사람들에게 친절히 대하는 순수한 그녀의 모습이 맘에 들었습니다. 특히 담배없이 못사는 녀석의 습관도 맘에 들었죠. 한번은 친구집에서 놀다가 그 담배때문에 친구들을 곤경에 빠지게 하는 행동에 동질감이 팍팍 느껴지더라구요. 하지만 그녀석을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녀석의 꿈입니다. ![]() 아웃사이더의 여러 의미중에 "경마에서, 인기가 없는 말"이란 것이 있더군요. 1등을 하지 못하는 말들은 경주에서 들러리 역할만 하며 힘들게 달려야 할뿐 사람들로부터 어떤 관심을 받지 못합니다. 영화에서 아마도 이에 해당하는 주인공은 혜주, 지영, 비류, 온조가 될겁니다. 지영은 가난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의 부족으로 늘 궁핍하게 삽니다. 다 쓰러져가는 집 다락방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연습을 하는 그녀의 모습에 보이는 어떤 무력감이 아프게 다가옵니다. 상고를 졸업한 후 백으로 들어간 좋은 직장에서 일하는 혜주는 다른 4명의 친구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나은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나 대학을 졸업한 엘리트들의 잡일들을 도와주는 저부가가치의 인물로 살아가는 실제 모습은 역시 인기없는 아가씨입니다. 비류와 온조는 쌍둥이 자매로 길에서 악세사리를 팔며 살아갑니다. 때로는 무기력하고, 때로는 사회에 대해 불만스런 이들의 모습을 담담하게 보여줍니다. 5명의 주인공들이 자주 모이던 동인천의 건조하면서도 약간 황량한 모습들은 그들의 내면을 잘 드러내 보여줍니다. 부둣가던가요? 그곳에서 세차게 부는 바닷바람을 막고자 깃을 세우고, 목도리를 꽁꽁 처매며 종종걸음을 하는 그녀들의 모습이 애처롭기까지 하더군요. 각자가 속한 곳에서 별볼일 없는 상황이지만 가끔씩 그들은 핸드폰으로 메세지를 전하며, 서로 모여서 놉니다. 언제나 자신의 불안한 미래에 대해 울상짓고 슬퍼하는게 삶의 전부가 아니잖아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이 젊은 삶에게서 희망을 보여주고자 했다면, 중간중간 녀석들이 모여 노는 장면은 일상에서 배어있는 삶에 위로가 되는 쉬운 희망들이겠죠. 락카페, 쇼핑센터, 친구의 집, 길거리에서 만나 훌훌 털어버리고 쉴대없이 수다떨고 웃고 즐기는 모습에 관객인 저도 적잖이 위로를 받았더랍니다. ![]() 왜 사회에 소외받은 자들이 있구, 그들의 삶이 슬프고 힘든지 이유를 대라면 끝도 없겠고, 그 문제를 비판하자면 입에 거품을 물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거기서 어떤 대안을 찾고 건설적인 계획을 논할 수도 있을겁니다. 하지만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처럼 그냥 그들의 실제적인 모습을 정이가는 대사와 연기와 영상으로 담담하게 보여주는 사람도 있군요. 그냥 감성적으로 느끼고, 맘에 드는 부분은 한번 따라해보는 것이 제가 택한 이 영화를 읽는 방법이었습니다. 머리가 아파서요. 흠흠.. 영화 한편에서 자신과 비슷한 인물의 모습을 보았고, 그를 통해 현재의 자신을 바라보게 되었다면 큰거 하나 건졌다고 볼 수 있겠죠? 더구나 극중 인물들이 보였던 행동을 비슷하게 따라하며 그 즐거움들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으니 정말 저에게는 딱 맞는 영화였습니다. 친구같은 영화였죠. 후후.. This article is from http://www.cinelin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