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영화를 찾아서 <눈물> 리얼함만으로는 부족해요! 글: 강병융 2001년 10월 14일
왜일까요? 그건 감독이 리얼하게 표현할 줄 알았지 정말 리얼하게 체험하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처절함이 부족합니다. 임상수 감독은 문제 의식 있는 감독입니다. 아주 좋은 감독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또 새로운 시도를 할 줄 아는 패기 있는 감독입니다. 이 역시 어마어마한 칭찬이네요. 하지만 그가 관객에게 보여주려고 했던 것에 대해 그는 리얼하게 체험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이 영화의 아쉬움입니다. 물론 모든 감독이 모든 영화를 찍으며 리얼하게 체험하고 리얼하게 찍을 필요는 없겠지만 우리에게는 욕심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영화 <눈물>은 욕심이 생기는 영화입니다. 그것은 우리들의 처절함을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간과해서는 안될 문제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임상수 감독이 다루는 이야기는 관계의 문제이고 성장의 문제이고 고통의 문제입니다. 남녀 주인공이 서로의 성기를 만지는 장면에서 만일 관객들이 끼득거렸다면, 이 영화는 완전히 꽝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그런데 관객들은 조용히 흥분하고 있었다면, 어떨까요? 그러면 절반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어린 남녀 주인공의 성행위에서 과연 감독이 원했던 것이 과연 흥분뿐일까요? 아닐테지요. 그 장면에서 관객들에게 필요한 것은 눈물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눈물은 나지 않습니다. 그것이 영화 <눈물>의 실패 요인입니다. <눈물>은 더 처절했어야 합니다. 단지 리얼한 표현으로만 그치고 있습니다. 속깊은 처절함이 없다는 점이 정말 아쉬웠습니다. This article is from http://www.cineline.com |